
MBTI 유형 중에는 한 번 결정을 내리면 쉽게 번복하지 않거나, 마음이 변하면 완전히 돌아서는 성향을 가진 유형들이 있습니다.
이 유형들은 감정이나 신념이 변하면 다시 돌리기 어렵고, 설득이 거의 통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
돌아서면 되돌리기 어려운 유형을 알아보겠습니다.
1. INTJ (전략적인 마스터마인드) – 논리적으로 결론 내리면 되돌리지 않음
- 감정보다 논리와 전략을 중시하기 때문에, 한 번 내린 결론을 쉽게 바꾸지 않음.
- 관계에서도 철저한 기준이 있으며, 신뢰가 깨지거나 불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미련 없이 떠남.
- 감정적인 호소보다는 논리적인 설득이 필요하지만, 논리적으로도 틀린 부분이 없으면 설득 자체가 어려움.
반응
- "이미 끝난 일인데 왜 다시 이야기해야 해?"
- "논리적으로 따져봐도 다시 돌아갈 이유가 없어."
- 감정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마음이 정리되었기 때문에, 설득이 거의 불가능함.
이유
- 마음이 변하면 감정적인 미련이 없으며, 논리적으로도 다시 돌아갈 이유를 찾지 않음.
- 상대방이 아무리 노력해도 이미 결론이 난 상황에서는 다시 받아들이지 않음.
2. INTP (논리적 사색가) – 감정보다 분석으로 결정하기 때문에 번복이 거의 없음
- 감정을 깊게 들여다보기보다, 관계나 상황을 분석한 후 결론을 내리는 경향이 있음.
- 감정적으로 설득하려고 하면 더욱 회피하거나 논리적으로 반박함.
- 한 번 정리한 관계는 다시 돌아보지 않는 경우가 많음.
반응
- "이미 논리적으로 말이 안 되는데, 왜 다시 고민해야 해?"
- "생각해봤는데, 계속 유지할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어."
- 감정적으로 흔들리지 않고, 이성적으로 모든 가능성을 차단하는 경우가 많음.
이유
- 감정보다 논리를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, 논리적으로 결론이 난 상황에서는 되돌아가지 않음.
- 관계를 끊어도 감정적으로 아쉬움을 느끼기보다는, 논리적으로 정리하고 끝내는 경향이 있음.
3. ISTP (현실적 해결사) – 필요 없다고 판단하면 깔끔하게 끝냄
- 관계를 감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, 필요에 따라 유지하는 성향이 강함.
- 한 번 결론이 나면 뒤돌아보지 않으며, 감정적으로 붙잡는 것을 극도로 싫어함.
- 감정적으로 설득하려 하면 더 차갑게 반응하며,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으면 다시 돌아가지 않음.
반응
- "이 관계는 이제 의미가 없어."
- "나는 원래 이런 거 오래 생각 안 해."
- 정이 많아 보이지 않지만, 사실 필요 없다고 판단하면 누구보다 빨리 정리하는 유형.
이유
- 필요 없다고 생각하면 감정적인 미련 없이 관계를 정리함.
- 상대가 감정적으로 매달리면 오히려 더 빨리 멀어지는 경향이 있음.

4. ENTJ (대담한 지휘관) – 목표에 방해되면 단호하게 끊어냄
- 목표 지향적인 성향이 강해, 관계나 상황이 자신의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미련 없이 정리함.
- 감정적인 호소보다는 실질적인 가치가 있는지를 따져보며, 가치가 없다고 판단하면 다시 돌아가지 않음.
- 강한 추진력과 결단력을 가지고 있어, 결정한 것은 번복하지 않는 성향이 있음.
반응
- "이 관계는 이제 나한테 도움이 되지 않아."
- "나는 후회하는 성격이 아니야. 결정했으면 그대로 가는 거지."
- 감정적으로 붙잡는 것보다, 실질적인 논리적 가치가 있는지를 따짐.
이유
- 한 번 관계가 끝났다고 판단하면, 다시 돌아가는 것은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함.
- 논리적으로 가치가 없다고 판단되면, 아무리 노력해도 다시 관계를 회복하기 어려움.
5. ISTJ (철저한 관리자) – 신뢰가 깨지면 다시 받아들이지 않음
- 신뢰와 원칙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, 한 번 배신을 당하거나 실망하면 절대 다시 돌아가지 않음.
- 감정적으로 미련이 남아도, 원칙과 신뢰를 기준으로 관계를 정리함.
-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성향이 강해, 감정적인 붙잡음을 극도로 싫어함.
반응
- "이미 신뢰가 깨졌는데, 다시 돌아갈 이유가 없어."
- "나는 내 원칙을 깨면서까지 관계를 유지하고 싶지 않아."
- 실망하면 감정보다는 원칙에 따라 관계를 끊어버리는 경향이 강함.
이유
- 신뢰가 깨지면 끝이라는 확고한 원칙을 가지고 있어, 다시 회복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함.
- 감정적으로 붙잡아도 원칙을 어기면서까지 관계를 유지하려 하지 않음.

6. ENTP (도전적인 토론가) – 새로운 자극이 없으면 쉽게 흥미를 잃음
- 새로운 경험과 도전을 즐기는 성향이 강해, 관계에서 더 이상 흥미를 느끼지 못하면 자연스럽게 멀어짐.
- 감정적인 매달림보다는, 논리적이고 흥미로운 요소가 있어야 다시 관심을 가질 가능성이 있음.
-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지만, 지나치게 감정적인 호소에는 부담을 느끼며 멀어짐.
반응
- "이제 더 이상 흥미롭지 않아."
- "새로운 가능성을 찾고 싶어."
- 새로운 경험을 원하기 때문에, 관계가 지루해졌다고 판단하면 쉽게 떠남.
이유
- 흥미가 사라지면 감정적인 애착도 함께 줄어드는 경향이 있음.
- 논리적으로 따지거나 새로운 자극을 주지 않으면 다시 돌아오지 않음.
마음이 변하면 답 없는 MBTI 유형
MBTI 유형
|
이유
|
INTJ
|
논리적으로 결론 내리면 감정적인 설득이 불가능함
|
INTP
|
감정보다 분석을 기반으로 결정하며, 논리적으로 틀린 부분이 없으면 번복하지 않음
|
ISTP
|
필요 없다고 판단하면 감정적인 미련 없이 정리하는 성향이 강함
|
ENTJ
|
목표 지향적이어서, 관계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미련 없이 떠남
|
ISTJ
|
신뢰와 원칙이 깨지면 절대 다시 돌아가지 않음
|
ENTP
|
새로운 자극이 없으면 쉽게 흥미를 잃고 떠남
|
이 유형들은 한 번 마음이 변하면 다시 되돌리기가 매우 어렵습니다.
설득하려면 감정적인 접근보다는 논리적이거나 실질적인 가치를 제시해야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생길 수 있습니다.

'MBTI 유형 비교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내향형 ( I ) 유형의 스트레스 해소법 (10) | 2025.03.30 |
---|---|
연애에서 유혹하기 어려운 MBTI 유형이 있다면? (0) | 2025.03.29 |
MBTI 유형별 애착하는 물건 (*S*P, *S*J유형) (4) | 2025.03.28 |
[필독] 사회적 가면-MBTI, ‘나’를 설명하는 단 하나의 정답일까? (2) | 2025.03.28 |
비슷한듯 다른 MBTI 유형 (2) | 2025.03.27 |